북한 평양 주민들의 일상을 소개해 온 북한 유튜브 채널들이 돌연 사용 중지됐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방심위)가 국가정보원의 요청에 따라 중단 조치한 것으로 밝혀졌다.
방심위는 국정원 요청에 따라 지난 5일 '송아'(샐리 파크스)·'유미'(올리비아 나타샤-유미 스페이스 DPRK 데일리)·'NEW DPRK' 등 북한 체제를 선전해온 유튜브 채널 3개에 대한 접속 차단을 의결했다고 23일 밝혔다. 국정원은 북한 체제 선전 콘텐츠를 발견하면 방심위에 차단을 요청해왔다.
![](https://blog.kakaocdn.net/dn/1RSEl/btsladywfBV/El3ACzb4Vqvc9us5Iypo3K/img.jpg)
현재 해당 채널들에 접속하면 '이 채널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라고 표시된다. 그동안 이들 채널에서는 젊은 여성과 여자아이 등이 등장해 영어로 북한 사회의 모습을 소개해왔다.
예컨대 지난 1월 자신을 '평양에 사는 유미'라고 소개한 젊은 여성이 등장하는 유튜브 채널 영상에는 영어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으로 몇 년째 평양을 방문할 기회가 없었기 때문에 평양이 궁금하실 것"이라며 평양 중구역에 위치한 능라인민유원지에서 놀이기구를 즐기는 일상을 전했다. 또 옥류관에서 '고기쟁반국수'를 주문해 식초 간장 겨자를 뿌려 먹는 영상(2월), 대동강수산물식당에서 철갑상어 요리를 즐기는 영상(3월) 등 이른바 '먹방'이 공개되기도 했다.
![](https://blog.kakaocdn.net/dn/wKthO/btslahtYA7A/Ge1wFpxRC16J9LnnAveESk/img.jpg)
접속이 차단된 북한 유튜브 채널 '올리비아 나타샤'. 유튜브 캡처
해당 채널은 북한 주민들의 일상을 알린다고 주장하지만, 일부 특권층만 누릴 수 있는 모습이지, 일반 주민들의 삶과는 거리가 멀다는 지적이 나왔다. 그래서 전문가들은 북한 고위층 주도로 고안된 체제 선전 캠페인으로 추정해왔다.
CNN을 비롯한 외신들도 북한에서는 인터넷 접속이 엄격하게 제한되고, 책이나 영화 등 해외 콘텐츠 접근도 금지돼 있어 유튜브를 사용하는 것 자체가 제한적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북한의 선전 당국이 '우리민족끼리'를 비롯한 노골적 체제 선전용 채널들이 서비스 약관 위반을 이유로 차단되자 비교적 가볍고 부드러운 분위기의 브이로그 채널들을 등장시킨 것으로 보고 있다.
방심위는 앞으로도 비슷한 채널들에 대해 국정원이나 경찰 등 요청이 있으면 절차에 따라 심의 후 접속 차단할 계획이다.
다만 이 채널들과 연계돼 유사한 영상을 게재해온 트위터 계정은 아직 운영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전에도 '우리민족끼리' 등 북한의 대외선전매체 유튜브 계정이 '서비스 약관 위반' 등의 사유로 계정 삭제된 바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UT6Jz/btslbo66ysh/kNfB2jiIJZTgFqPgunVJi0/img.jpg)
지난해 7월 '평양에 거주하는 소녀 송아'라고 밝힌 11살 어린아이. 사진 유튜브 채널 'Sary Violine' 캡처
![](https://blog.kakaocdn.net/dn/KLwMA/btsk9CyyhsC/8a9OZnm2rprKQvK13QhiDk/img.jpg)
북한 유튜버 연미. 사진 유튜브 채널 'NEW DPRK' 캡처
북한은 각종 유튜버를 통해 선전 활동을 해왔다. 지난 1월 '평양에 사는 유미'라고 밝힌 여성은 영상에서 영어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으로 몇 년째 평양을 방문할 기회가 없었기 때문에 평양이 궁금하실 것"이라며 평양 중구역에 있는 능라인민유원지에서 놀이기구를 즐기는 모습 등 일상을 전했다. 지난해 7월에는 '평양에 거주하는 소녀 송아'라고 밝힌 11살 어린아이가 영어로 "여러분이 평양에 오게 되면 이 나라에서 제일 맛있는 빙수를 소개하겠다"며 평양 ‘대성구역종합식당’이라고 적힌 간판이 있는 작은 가게에서 빙수를 먹는 모습을 보였다. 이 밖에도 북한 유튜버로 알려진 '연미'는 중국어를 구사하며 만두를 빚고 분홍색 투피스 차림으로 등장해 평양의 봄을 소개했다.
23일 오전 7시 기준 ‘송아’(Sally Parks [송아 SongA Channel]), ‘유미’(Olivia Natasha- YuMi Space DPRK daily), ‘NEW DPRK’ 등 유튜브 채널에 접속하면 ‘이 채널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라는 안내 문구가 표시된다.
이들 채널의 사용 중단 이유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앞서 ‘우리민족끼리’ 등 북한의 대외선전매체 여러 곳의 유튜브 계정이 서비스 약관 위반으로 폐쇄된 바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8bgQY/btslaexoj7O/guRqy5kfFx1waX2TKyKsgK/img.jpg)
유튜브 검색을 통해 해당 채널들이 게재한 영상에 직접 접근을 시도해도 ‘동영상을 재생할 수 없음. 정부의 법적 신고로 인해 해당 국가 도메인에서 사용할 수 없는 콘텐츠입니다’라는 안내만 나온다. 다만 쇼츠 등 일부 영상은 아직 차단되지 않은 듯 재생 가능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 채널은 북한 주민의 일상을 소개하면서 체제 선전을 해왔다. 영상에는 주로 어린 소녀나 젊은 여성들이 등장했다.
지난 1월 ‘Olivia Natasha- YuMi Space DPRK daily’ 채널에 게재된 영상에서 유미는 자신을 평양에 산다고 소개한 뒤 평양 능라 유원지를 방문해 놀이기구를 타는 모습을 보여줬다. 지난 3월에는 유미가 북한의 유명 음식점 옥류관을 방문한 모습이 담긴 영상이 공개되기도 했다.
지난해 7월에는 ‘평양에 거주하는 11세’라고 자신을 밝힌 송아가 대성구역종합식당이라는 간판이 달린 작은 가게에서 빙수를 먹는 모습을 보였고, 지난 4월에는 ‘연미’라는 이름의 여성이 중국어를 구사하며 평양의 봄을 소개하기도 했다.
유튜브 '유미의 공간'의 운영자 유미는 자신을 평양에 산다고 영어로 소개하며, "평양은 살기 좋은 곳"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운동센터를 찾아 요가 수업을 받는 영상을 올려 큰 관심을 받은 바 있습니다.
하지만 유미가 누린 생활은 평양에서 일부 특권층만 누릴 수 있는 위락시설로, 유미가 평양의 핵심 계층 출신이라는 설이 나왔습니다.
당시 미국 CNN방송은 "영상에서 보이는 것이 전부는 아니며, 일반 주민들의 삶과는 거리가 멀다는 것을 보여주는 흔적이 담겼다"고 말했습니다.
또 북한인권정보센터 박성철 연구위원은 CNN에 "유미의 영상은 북한 정권이 준비한 연극처럼 보인다"며 "이 유튜버들은 희귀 사치품을 갖고 있는데, 모
![](https://blog.kakaocdn.net/dn/SqoI0/btslb5lNwZg/unEPQpgvKKALfjzk7OgmT0/img.png)
두 고학력자에다가 고위 관리들과 관련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습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유튜브를 이용해 체제 선전 효과를 높이려는 의도였다고 분석했습니다.
한편 채널 사용 불가가 유튜브 조치에 의한 것인지, 운영자 결정에 따른 것인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세계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튜브 동영상 시청 하며 온라인게임도 즐긴다? 유튜브 수익 모델 다양화? (5) | 2023.06.26 |
---|---|
말라리아 원인, 증상은? 한국 서울, 경기, 강원지역에서 발견 증가... 해외유입 5배 많아? (0) | 2023.06.25 |
타이타닉 잠수정 잔해 발견...탑승자는 모두 사망... 폭발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추가 조사 착수? (0) | 2023.06.23 |
자살 미션 같았다던 타이타닉 잠수정 타이탄 경험자들 인터뷰... 유령그물에 걸렸나? 실종후 현재 남은 산소는 단 10분?? (0) | 2023.06.22 |
일본 방사능 오염수 방류, 일본 국민들은 정말 괜찮은 걸까? 그리고 천일염 지금 사두어야하나? (0) | 2023.06.21 |
댓글